소프트웨어 제품의 조달등록 방법 일반적으로 조달등록이라고 불리는 제3자 단가계약 진행 한 경험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소프트웨어의 제3자 단가계약 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려주고 있는 자료가 없어서 진행 할 때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 제3자 단가계약이란 공공기관을 대신하여 조달청이 판매사와 가격협상을 하여 제품의 단가를 정하고, 계약된 가격으로 공공기관이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나라장터라는 쇼핑몰에서 등록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공공기관에서 수요가 지속적으로 있는 A4용지같은 소모품이나 사무용집기는 물론 많은 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경우 매번 구매 프로세스에 따라 입찰을 진행한다면 행정 낭비겠지요. 그래서 조달청이 모든 공공기관을 대신하여 계약을 하는 것입니다. 지금은 MAS라는 다수공급자계약 방식이 기본이 되도록 제.. 더보기 [보안제품 소개] CMF/DLP - 1 내부정보 유출과 관련된 보안제품 중 가장 많이 거론되는 제품이 CMF(Contents Monitoring and Filtering)/DLP(Data Loss Prevention) 솔루션입니다. 기업이나 공공 등의 조직 내에서 발생한 중요한 정보들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네트워크를 통제하거나 사용자 PC를 통제하는 솔루션을 말합니다. 해외의 경우에는 Symantec의 제품처럼 하나의 벤더사 제품이 네트워크나 단말(PC 등)을 통합관리하는 형태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네트워크나 단말 중 한 쪽만 제어하는 솔루션을집중하여 개발하는 벤더도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아직은 네트워크 쪽만 개발을 하는 업체와 PC 관련 부분을 개발하는 업체가 별개로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직 어떤 솔루션을 말하는 .. 더보기 인도에서의 소프트웨어 R&D 센터 운영 경험을 나누려고 합니다 벌써 지금으로부터 5년이나 지났네요. 2005년 여름엔 너무도 낯선 곳이었던 인도 Bangalore(몇 년 전 시 이름이 Bangaluru로 변경이 되었지요)에 있었습니다. 소프트웨어 기업인 저희 회사의R&D 센터를 설립하기 위해서 회사에서 홀홀단신으로 파견됐었습니다. 지금은 여러가지 사정으로 몇 년간 운영하던 R&D 센터의 운영이 중단 된 상태이긴 합니다만, 대한민국의 작은 소프트웨어 벤처로써는 처음으로 인도 Bangalore에 연구개발을 위한 지사를 설립하기 위하여 부딪혔던 많은 경험들을 묵혀두기가 아까워서 생각이 나는대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아마도 시간이 많이 흘러서 많은 부분이 바뀌었겠지요. 그 느리게 변하던 인도도 5년이라는 세월이 흐른 지금은 변화가 있겠죠 :) 그리고 최근 CEPA 협정.. 더보기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56 다음